본문 바로가기

한국민족문화/옛날집

한국의 문(꽃살문)


서지초가뜰 정자살문


해마다 가을이면 월동준비로 문에다 창호지를 발랐다. 

풀비로 문살에 골고루 풀칠을 한 다음 창호지를 붙이고, 마지막에 국화꽃 몇 송이 손잡이에 붙이면, 사랑 표현에 투박했던 아버지의 

일년 내 단 하루 

사랑고백이 끝난다. 








신흥사 띠살문 


완자살창, 띠살창, 빗살창, 정자살창..........우리 전통 방문을 부르는 이름은 그 수도 수 십 가지이다.

여기서는 그 문의 원형에 대해 논하기 보다는 발걸음 닿는 곳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우리 문의 여러가지 모양을 눈으로 즐기기로 한다. 









선암사 대웅전 솟을빗살창 


솟을살문이란 살이 도드라진 형태를 보고 붙인 이름으로 일명 격자빗살문이라고도 한다.

살이 도드라진 위에 대부분 꽃을 새겨넣어 화려한 꽃살문양의 기본이 된다. 










내소사 꽃살문


내소사는 백제 무왕때 혜구두타가 창건한 절이다. 

조선 인조때 건립된 대웅보전(보물 제291호)은 조선중기 사찰건축의 백미이다. 

어칸의 네 문짝에 조각된 꽃살은 우리나라 사찰 꽃살문의 대표적인 꽃살 중 하나로 대칭적 균제미와 조형미가 뛰어나다. 









내소사 꽃살문











내소사 꽃살문


꽃살문은 파초,연꽃,모란,국화,보상화문,당초문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연화문은 연꽃을 상징하는데, 연꽃은 불교에서 초탈,보리,정화 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내소사 솟을꽃살문


조각된 꽃살은 오방색(청·백·적·흑·황)으로 칠해진다.













내소사 솟을연꽃살문










도갑사 꽃살문


절집마다 다양한 꽃살문을 만날 수 있다. 









수덕사 꽃살문











낙산사 통판투조꽃살문


대부분의 문창살은 날살과 씨살을 바탕으로 제작되나 통판투조꽃살문은 널찍한 나무판을 놓고 밑그림을 그린 후 통째로 문양을 새겨 문틀에 끼워넣는 방식을 취한다.

조선시대 민화를 많이 닮아있어 조선시대 불교문화의 특성을 찾을 수 있다. 









실상사 꽃살문













내소사 솟을연꽃살문


소박한 절집에서 만나는 꽃살문은 작아서 보이지 않던 마음의 창을 열어주는 또 다른 여행의 즐거움이 될 것이다. 








'한국민족문화 > 옛날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을 닮은 우리 옛집 -굴피집  (0) 2015.07.17
한국의 굴뚝  (0) 2014.03.18
강릉 오죽헌  (0) 2014.02.07